Study

[스크랩] 베가스코덱

중독1106 2008. 2. 17. 02:32
제가 불행하게도(?) 디카가 없는 관계로 정확한 답변을 드리지 못하는 점을 양해바랍니다.
아래의 글은 친구넷에서 게재되어있는 관련 내용이므로 참고를 하시면 될듯 싶네요...

1.친구넷의 한이님의 글
프리미어나 베가스나 디카의 영상을 편집하기 위해선 코덱이 필요합니다.
divx편집을 하기 위해서 divx코덱을 깔아야 하는 것처럼 말입니다.
디카용 동영상은 대체적으로 m-jpg코덱을 사용합니다. 모두가 그런건지는 모르겠습니다.
일단 캐논과 소니는 그렇더군요.
소니는 똑같은 m-jpg코덱을 사용하더라도 확장자는 mpg를 사용합니다.
캐논은 보니깐 avi확장자를 사용하더군요. (댓글을 보니 대체적으로 mov파일이 많네요.
mov파일도 확장자만 다르지 사용되는 코덱은 똑같습니다.)
mpg던지 avi던지 mov던지 서로 확장자를 변경을 해서 사용해도 상관이 없습니다.
코덱을 정품을 사용하실려면 구매를 하셔야 합니다.
(비싼거 팔아먹으면서리 소니나 캐논등에서 코덱을 제공해주면 좋으련만 그런데는 별로
신경을 안쓰나 봅니다.)
허나 쉐어웨어나 트라이얼버젼등이 있으므로 어느정도는 사용을 하실수가 있습니다.
만드는 회사는 아래와 같은 회사들이 있습니다.



http://www.morgan-multimedia.com/
http://www.pegasusimaging.com/
http://www.mainconcept.com/



회사마다 로고가 찍힌다던지 혹은 날짜제한등이 있습니다. 아무회사꺼나
사용해도 상관은 없구요.



morgan의 다운로드는
http://www.morgan-multimedia.com/download/m3jpegv3.exe



pegasusimaging의 다운로드는
ftp://ftp.pictools.com/picvideo/PICVIDEO2.EXE



mainconcept는
http://www.mainconcept.com/downloads.shtml 의 제일아래부분에 있는
Motion JPEG Codec 3.2.4 demo for Windows 를 클릭해서 이름과 이메일 아무거나
적어서 submit클릭하시면 다운로드 할수 있습니다.



설치는 뭐 보통 프로그램처럼 다음,다음 어쩌고 해서 하시면 되구요.^^



설치는 이렇게 하시고 편집시에 세팅부분을 신경을 쓰셔야 하는데요.
이 영상은 흔히 우리가 찍는 캠코더의 인터레이스 방식이 아니라 프로그래시방식입니다.
그러므로 프로젝트 세팅시나 저장시의 방식이 upper field나 lower field가 아닌
progressive로 해주셔야 합니다.



초당프레임수 또한 29.97이 아닌 15,25,30프레임등으로 저장이 됩니다.
이건 디카마다 조금씩 다르니깐 확인을 하셔야 하겠죠. 확인방법은 좀있다 말씀드리겠습니다.
고로 프레임의 설정 또한 그렇게 맞춰주셔야 합니다. 해상도도 마찬가진데 일반 dv처럼
720*480 아니라 320*240이나 640*480정도의 해상도로 하셔야 되구요. (보통정도의 디카는
320*240정도겠죠.) 물론 dv크기(720*480)로 세팅을 하고 320*240을 불러와서 늘려서 사용을
해도 되지만 그렇게 되면 화질이 좀 더 떨어집니다.



아 그리고 초당프레임수나 이런건 프리미어프로 같은데서 임포터해서 볼수가 있는데 베가스나
프리미어6.0 ,6.5는 요즘 손을 안대봐서 잘 모르겠네요. 아니면 동영상정보를 볼수 있는 프로그램
들도 있는데 저는 그냥 편하게 GOM플레이어를 사용합니다.



http://www.guruguru.co.kr/gomplayer/gom_intro.html
에 가셔서 다운로드 할수 있구요.
바로 다운로드는
http://appupdate.guruguru.co.kr/files/download/GOMPLAYERSETUP.exe
입니다.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영상을 플레이 해서 영상위에서 마우스 우측눌러서 "재생정보"를
클릭하면 영상에 대한 정보가 나옵니다.


2. 친구넷의 이선미님의 글
디카로 찍은 영상 파일을 살펴보면 디카의 기종 마다 동영상 파일에 붙은 확장자가 다릅니다.
이것은 디지털 카메라의 동영상 압축 방식이 다르기 때문인데요  MPEG, AVI, MOV로 나눌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동영상 파일은 편집프로그램에서 [가져오기] 가 되지만
MOV파일은 AVI파일로 변환을 해야 편집이 가능합니다.
MOV는 애플의 매킨토시용으로 개발된 포맷입니다.
이것을 편집하기 위해서는 AVI파일로 변환을 해야 합니다.

MOV화일을 AVI화일로 변환하는 과정을 알아보겠습니다.
1. 변환을 위해서 변환 프로그램인 MOV2AVI.exe 를 다운받습니다.
   프로그램은 http://www.geocities.com/SiliconValley/4942/svcd.html 가면 다운 받으실 수 있습니다.
    mov2avi.exe를 정상적으로 실행시키기 위해서는 QuickTime이 우선 설치되어 있어야 합니다.
2. 다운 받은 후 적당한 곳에 압축을 풀면 mov2avi.exe 가 생성됩니다.
3. 편의상 변환을 위하여 변환하고자 하는 mov파일과  mov2avi.exe를 로컬디스크의 Temp폴더로 복사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변환 대상 화일의 경로를 써줘야하는데 ..번거롭지요.
4. mov2avi.exe는 커맨드라인(도스모드)에서 실행되므로
   시작 => 프로그램 => 보조프로그램 => [명령 프롬프트 실행]을 누릅니다.
5. mov2aiv.exe 파일이 있는 곳으로 이동 합니다.
   프롬프트 상태에서 cd c:\Temp 라고 적고 Enter. ( 띄워 쓰기에 유의하십시오 )
6. 다음 형식의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mov2avi  [변환하고자하는 화일명]
       예) mov2avi  mov_sample.mov
7. 정상적으로 종료되면 success 라는 메세지가 나타납니다.
8. 커맨드모드창을 닫고 temp폴더로 와서 화일을 확인합니다.



여타 많은 방법이 있지만,  프로그램 크기가 80k로 솜털이구요,
실행속도 .. 위의 예제 화일 같은 경우는 눈깜짝 할 사이입니다. 빠른 작업을 요하신다면 한 방법이 되겠지요.
윈도우 사용자들은 도스 커맨드가 생소하실 수 있으시겠지만 간단하니 재미삼아 해보십시오.  
[ 2005-09-07 14:37:57 ]
출처 : 나의 일상생활
글쓴이 : 하늘 원글보기
메모 :